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68

[경제용어] 왜 상승장은 Bull, 하락장은 Bear라고 부를까? Bull market, Bear market의 뜻 일반적으로 bull market은 강세장, bear market은 약세장을 의미한다. 주식, 채권 등의 유가증권들은 지속적으로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기 때문에, 장기간(몇달 ~ 몇년) 상승하면 강세장이라 하고, 장기간 하락하면 약세장이라 부른다. 하지만 강세장과 약세장을 정의하는 공식이나 규칙은 없다. 최근 가격이 20%이상 상승하거나 하락하면 각각 bull/bear market에 진입했다고 한다. 황소와 곰이 강세장과 약세장의 상징이 된 이유? 일단 정확한 유래는 알 수 없다. 하지만 황소와 곰의 공격하는 모습이 비유적으로 그려진 것으로 보인다. 황소는 뿔을 공중으로 치켜 올려 공격하는 모습이, 강세장에서 상승하는 모습으로 비유되고, 곰이 발바닥으로 아래.. 2023. 2. 26.
[선형대수] Vector, Matrix, Gaussian Elimination, LU-decomposition, LDU-decomposition, inverse Introduction벡터벡터(vector)는 덧셈과 상수배(scalar multiplication)가 의미를 갖는 대상을 말한다.덧셈의 항등원에 해당하는 벡터를 영벡터(zero vector)라 하고 $\mathbf{0}$으로 표기한다.더하기의 역원이 존재하면, 실수에서와 같이 (-)를 붙여 표시한다. $-\mathbf{v}$벡터 $\mathbf{v}$에 대하여 덧셈과 상수배를 만족하는 벡터를 모아 놓은 공간을 벡터공간(vector space)라 부른다. (벡터공간에 대한 설명은 나중에) 벡터는 유한개의 숫자를 순서대로 모아놓은 배열의 한 형태가 될 수 있다.\[ \mathbf{v} = \begin{bmatrix} v_1 \\ v_2 \\ \vdots \\ v_m \end{bmatrix} \]이 벡터는 .. 2023. 2. 20.
[독서] 금융으로 본 세계사 작년에 서점을 돌아다니다 구석에 처박혀 있던 책 를 이제야 읽었다. 책 표지에는 세계적 위인들의 초상화가 각 시대의 화폐와 함께 배치되어 가벼운 내용일 줄 알았다. 마치 중고등학생도 쉽게 읽을 수 있는 교양서적 쯤으로 생각하게 한다. 하지만 이 책을 읽다보면 경제 및 금융 관련 단어가 쉬지않고 튀어나오며, 게다가 주석으로 설명하지 않는다. 이 책의 가상의 독자는 교양을 쌓기 위한 일반인이 아니라 어느정도 경제에 (그리고 정치에도) 관심이 있는 사람들이라는 뜻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 책의 장점이자 단점은 역사를 단순히 경제적 관점에서 바라보아 위정자들의 인식을 엿볼 수 있다는 것이다. 진정 세계사를 배우고 싶다면 국제 정치나 다른 서적을 찾았을테니 이 책의 단점이라하기도 뭐한 것 같다. 크게 12장으로.. 2023. 2. 19.
[경제용어] 달러인덱스(USDX)를 알아보자 달러 인덱스의 시작브레튼 우즈 체제가 끝난 1973년 3월에 달러인덱스가 시작되었다. 이때 초기값은 다른 지표들처럼 100.000 이다. basket의 구성은 딱 한번 바뀌었는데, 1999년에 유럽 통화(독일 마르크, 프랑스 프랑, 이탈리아 리라, 네덜란드 길드, 벨기에 프랑)가 유로에 흡수될 때이다. 이때 말고는 공식이 바뀐적은 없다. 현재는 ICE(Intercontinental Exchange, 대륙간거래소)가 달러인덱스를 관리하고 있다. 미국의 연방준비제도가 발표하는 달러 인덱스도 있는데, 주요선진국 대비 달러인덱스, 신흥 개발국 대비 달러 인덱스, 브로드 달러 인덱스가 있다. 이들의 기준점은 2006년이다.  혹자는 미국의 주요 교역국들인 중국, 멕시코, 한국, 브라질, 호주, 뉴질랜드, 싱가포르.. 2023. 2. 19.
[확률] 베이즈 정리 (Bayes' theorem) 베이즈 정리에 필요한 notation을 먼저 정리하고 가자. 결합 확률 (joint probability)사건 $A$와 사건 $B$가 동시에(함께) 발생할 확률을 결합확률이라 하고 $P(A, \ B)$로 나타낸다.고등학교 수학에서는 $P(A \cap B)$로 나타내기도 하며 정확히 $P(X=x, Y=y)$로 정확히 표기하기도 한다.  조건부확률 (conditional probability)사건 $B$가 일어났을 때(이런 사실이 알려졌을 때) 사건 $A$가 발생할 확률을 조건부 확률이라 하고 $P(A | B)$로 나타낸다.   확률의 곱셈정리 (multiplication theorem)결합확률과 조건부확률은 아래와 같은 관계가 성립한다.\[ P(A, \ B) = P(A | B)P(B) \]  전체 확률의 .. 2023. 2. 18.
자주 쓰이는 라틴 약어 (e.g., i.e 등) Introduction 필기를 하면서 예시를 쓸 때 ex) 이런식으로 많이 썼다. 예전에 영어학원에 다니면서 실제 영어권 국가에서 ex)는 안쓰고 e.g. 이렇게 사용한다고 강사님이 그러셨다. 곰곰히 생각해보니 전공책 원서에서도 ex)라고는 안쓰고 e.g., i.e. 이런식으로 써져 있는 것 같았다. 사실은 영어가 아니라 라틴어 약어인데, 이참에 자주 사용되는 단어를 정리해보았다. 또 너냐 라틴어!! A.D. (anno Domini) in the year of the Lord 번역하면 주님의 해(年) 이지만, 우리말로 기원후. 반대말인 BC는 사실 영어로 Before Christ이다. 요즘에는 종교적 다양성을 포함하기 위해(종교적 색채를 지우기 위해) 기원전은 BCE ( Before Current/Com.. 2023. 2. 1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