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66

[CS224w] Colab 1 - Node Embeddings 강의자료 1~3 기반 colab 프로그래밍 과제이다. 1. Introduction 2. Feature Engineering for Machine Learning in Graphs 3. Node Embeddings Dataset Zachary's karate(가라테) club network라는 그래프 데이터를 이용할 것이다. NetworkX에 내장되어있으니 간단히 불러온다. import networkx as nx G = nx.karate_club_graph() print(type(G)) # print(G.is_directed()) # False 그래프를 그려볼 수 있다. 실행할 때마다 그래프 그림이 달라지지만, 당연히 같은 그래프이다. nx.draw(G, with_labels=True) Question 1.. 2023. 3. 6.
Ch1. Probability Models KeywordsProbability Models, Properties of Probability Models, Uniform Probability on Finite Spaces, Conditional Probability and Independence, Continuity of $P$확률 모형, 확률 모형의 성질, 균등 확률, 조건부 확률, 베이즈 정리, 독립, 수렴성 Probability Model확률론은 uncertainty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제공한다. 이를 이해하는 것은 예측, 의사결정, 자산 위험, 돈을 버는 것에도 도움을 준다. Sample Space, $S$, 표본공간a set that lists all possible outcomes of some unknown experiment or .. 2023. 3. 4.
[확률] 생일문제 $n$명의 사람들 중에서 적어도 한 쌍(두 명)의 생일이 같을 확률을 구하는 문제이다. 문제를 간단히 하여 1년에 365일만 있다고 하자.한번에 생각을 떠올리기 힘드니 작은 문제부터 확장해보자.1. $n=2$ 일 때두 명의 생일이 같은 사건은 $A = \{(1, 1), (2,2), \dots, (365, 365)\}$이고 표본공간 $S = \{ (1, 1), (1, 2), \dots, (365, 364), (365, 365) \}$이므로 확률을 계산하면 $P(A) = \cfrac{365}{365^2} = \cfrac{1}{365}$ 이다. 2. $n$명의 생일이 모두 같을 확률$|A| = 365$이고 $|S| = 365^n$이므로 $P(A) = \cfrac{1}{365^{n-1}}$ 이다. 3. $n$명.. 2023. 3. 2.
[경제용어] PCE, 미국 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 PCE는 무엇인가? PCE는 Personal Consumption Expenditures 의 줄임말이다. PCEPI라고도 한다. 개인소비지출 가격지수또는 PCE 디플레이터라고도 한다. 간단하게는 consumer spending (소비자 지출)로 불리기도 한다. 미국의 소비 물가의 전체 평균 상승도에 대한 지표이다. GDP 소비에 대한 통계로, 직관적으로 개인이 소비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척도라고 볼 수 있다. 간단히 말하면 미국에 있는 모든 개인들이 소비한 돈의 총액이다. Core PCE(근원 PCE)는 PCE 중에서도 변동성이 낮은 것만을 항목으로한 지표이다. (그래서 core PCE에는 계절식품과 에너지는 제외된다.) PCE는 1959년부터 기록되었으며, 벤치마크는 2012년=100 으로 한다. 미국의.. 2023. 3. 1.
[경제용어] 왜 상승장은 Bull, 하락장은 Bear라고 부를까? Bull market, Bear market의 뜻 일반적으로 bull market은 강세장, bear market은 약세장을 의미한다. 주식, 채권 등의 유가증권들은 지속적으로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기 때문에, 장기간(몇달 ~ 몇년) 상승하면 강세장이라 하고, 장기간 하락하면 약세장이라 부른다. 하지만 강세장과 약세장을 정의하는 공식이나 규칙은 없다. 최근 가격이 20%이상 상승하거나 하락하면 각각 bull/bear market에 진입했다고 한다. 황소와 곰이 강세장과 약세장의 상징이 된 이유? 일단 정확한 유래는 알 수 없다. 하지만 황소와 곰의 공격하는 모습이 비유적으로 그려진 것으로 보인다. 황소는 뿔을 공중으로 치켜 올려 공격하는 모습이, 강세장에서 상승하는 모습으로 비유되고, 곰이 발바닥으로 아래.. 2023. 2. 26.
[선형대수] Vector, Matrix, Gaussian Elimination, LU-decomposition, LDU-decomposition, inverse Introduction벡터벡터(vector)는 덧셈과 상수배(scalar multiplication)가 의미를 갖는 대상을 말한다.덧셈의 항등원에 해당하는 벡터를 영벡터(zero vector)라 하고 $\mathbf{0}$으로 표기한다.더하기의 역원이 존재하면, 실수에서와 같이 (-)를 붙여 표시한다. $-\mathbf{v}$벡터 $\mathbf{v}$에 대하여 덧셈과 상수배를 만족하는 벡터를 모아 놓은 공간을 벡터공간(vector space)라 부른다. (벡터공간에 대한 설명은 나중에) 벡터는 유한개의 숫자를 순서대로 모아놓은 배열의 한 형태가 될 수 있다.\[ \mathbf{v} = \begin{bmatrix} v_1 \\ v_2 \\ \vdots \\ v_m \end{bmatrix} \]이 벡터는 .. 2023. 2. 20.
728x90
반응형